안녕하세요, 안단입니다.
오늘은 복장이 주는 심리 효과인 제복 효과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1.제복 효과(Uniform Effect)의 뜻과 유래
2.미치는 영향
3.단점
제복 효과 (Uniform Effect)의 유래
미군의 심리학자 존슨 (R.D.Johnson)과 다우닝 (L.L.Downing)이 1979년에 실험을 합니다.
그들은 여학생 60여 명에게 쿠 클럭스 클랜(KKK)이라고 불리는 백인 우월주의 단체의 복장과 유사한 가운, 그리고 간호사 제복을 각각 입고 실험에 참여하게 됩니다. 그 가운데 어떤 사람에게 문제를 내어 상대편이 틀린 답을 말하면 여학생이 6단계의 버튼 중 하나를 골라 전기 쇼크를 주는 실험이었는데, 결과는 매우 흥미로웠습니다. 간호사 제복을 입은 참가자들은 상대편에게 쇼크가 작은 1단계 버튼을 눌렀는데, 과격한 KKK단과 유사한 가운을 입었을 때는 쇼크가 강한 6단계 버튼을 눌렀다고 합니다. 이렇듯 사람이 입고 있는 옷에 따라 행동이나 심리에 변화가 생기는 것을 '제복 효과'라고 합니다.
이와 같이 복장에 따라 사람이 천사가 될 수도 있고, 악마가 될 수도 있다는 연구 결과는 무수히 많이 있습니다.
다른 예를 들면 영화로도 제작이 된 '스탠퍼드 감옥 실험'에서도 실험에 참가한 두 부류에게 각각 죄수복과 간수복을 입혔을 때, 입은 옷에 따라 행동이 달라짐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스탠퍼드 감옥에 대해서는 나중에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미치는 영향
우리는 우리 주위에서 제복을 입은 사람들을 자주 봅니다. 군인, 경찰관, 소방관, 간호사, 스튜어디스, 선원, 경비원을 비롯해 매장 직원이나 공장 직원, 호텔리어나 요리사들도 제복을 많이 입습니다. 또한 운동선수들이 운동할 때 입는 유니폼 또한 엄연한 제복이며, 학생들이 입는 교복도 제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같이 제복 즉, 유니폼을 입는 이유는 어떤 옷을 입는가에 따라 사람들의 심리와 행동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실제 제복 효과는 조직 내에서 구성원들에게 몇 가지 영향을 미치기도 하는데,첫 번째는 구성원들 간에 동질감을 형성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같은 제복을 입고 일할수록 구성원들 사이에 동료의식이 더욱 강해진다는 것입니다. 두 번째는 제복을 입으면 생산성이 증가한다는 것입니다. 하조 애덤과 애덤 갈린스키가 2012년 실험 사회심리학 저널에 기고한 논문 '의복 착용과 인식 작용(Enclothed Cognition)'을 보면, 흰 가운을 입은 사람이 흰 가운을 입지 않은 사람보다 수행력이 높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주의력 테스트인 스트룹 테스트(Stroop Test)를 진행한 결과, 흰 가운을 입은 사람들은 가운을 입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실수를 절반 정도만 저지른 것으로 나타난 것입니다. 세 번째는 제복을 입음으로써 직원들의 복장 스트레스와 관련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제복을 착용하는 직장을 다니면, 어떤 옷을 입고 나갈지 고민하는 시간을 줄일 뿐 아니라 동료 간의 미묘한 복장 경쟁심도 줄일 수 있으며, 회사가 제복 비용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개인 차원에서 복장 비용이 크게 줄어들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제복을 입은 사람을 보면 신뢰감을 줄 수 있으며, 같은 예로 미국의 한 기업인 IBM은 사업 초기 직원들에게 감정 색의 양복과 넥타이를 매고 일을 하도록 하였는데, 이 복장은 고객들에게 수준 높은 전문가라는 인식을 심어 주기도 하였습니다. 그리고 한국에서도 실시한 한 실험에서는 동일 인물이 캐주얼 모습과 깔끔한 정장의 모습을 보여주고 지나가는 시민들에게 어떤 사람인지 평가를 요청하였을 때, 캐주얼의 모습을 보고서는 대다수가 악평을 하였고, 반대로 정장 차림을 입고 있었을 때는 "재벌가 같다" 혹은 "성공한 사업가 같다"등의 이야기를 하기도 하였습니다.
단점
하지만 이같이 제복 효과에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과거 독일의 나치스가 그러했으며, 위에도 언급한 KKK 단 등 제복을 통한 극단주의로 빠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 외에 한 때 제복 착용은 지나친 표준화와 획일화를 불러일으켜 창의성을 억누른다는 이유로 배척되기도 했습니다. 집단 속의 개인에게서 주체성과 개성이 상실되는 현상을 사회심리학자들은 몰개성화(Deindividuation)라 하는데, 이런 관점에서 제복 효과의 부정적인 면을 엿볼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오늘의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