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현대인의 질병 우울증 안녕하세요 안단입니다. 오늘은 우울증에 관한 이야기를 해볼게요 디지털시대를 살고 있는 이 시대라도 피할 수 없는 질병이 있는데요 그게 바로 우울증이랍니다. 현재 우울증 치료제는 많이 개발이 된 상태이기에 우울증을 일종의 감기약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텐데요. 그래도 사람이 살다 보면 스트레스를 안 받을 수가 없고, 또 살면서 당하는 실패나 자괴감 때문에 우울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경우 대부분의 사람들은 행동도 소심해지고, 비관적이고 비판적 사고방식을 가지게 됩니다. 본론: 극복은 언제나 긍정의 힘 그럼 이런 상황을 뒤집을 방법은 무엇일까? 물론 약물 치료도 하나의 방법이겠지만, 가장 좋은 방법은 억지로라도 긍정적인 말과 생각을 하는 것입니다. 억지로라도 하셔야 합니다. 그..

안녕하세요 안단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행동 심리 주제는 지하철의 민폐자인 쩍벌남(Manspreading)입니다. 저도 가끔 만나게 되는데 그럴 때마다 허벅지에 쥐가 나도록 서로 힘주며 파워게임을 하곤 하는데요 그럼 쩍벌남들이 왜 다리를 쩌억~하고 벌리고 앉는지 그들의 심리 및 특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사진 한장을 보시죠 보기에도 너무 불편한 자세인데요. 이 쩍벌남은 옥스포 사전에 Manspreading이라고 기록이 되어있습니다. 당연히 공공장소에서의 매너는 선택이 아닌 필수인데, 위 사진처럼 필요 이상으로 다리를 넓게 벌리고 앉는 사람들을 가끔 보게 됩니다. 한가한 시간때나 사람이 적을 때야 피해 앉으면 그만이지만 출퇴근시간에 옆자리에 앉으면 눈살을 찌푸리게 하기도 합니다. 그럼 왜 맨스프레..

안녕하세요 안단입니다. 여러분 연애 잘하고 싶으시죠? 클럽에서 만나는 그런 냄비 같은 일시적 사랑보다는 뚝배기 같은 단계별 사랑을 하고 싶으신가요? 그럼 차근차근 읽고 실천해 보세요. 오늘은 사람이 불안할 때 하는 행동심리에 대하여 알려드릴게요. 사람은 누구나 불안함을 느낍니다. 그렇게 사람이 불안함을 느낄 때 하는 행동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알려드릴께요. 미국의 한 심리학자인 스탠리 샤흐터는 한 실험을 했답니다. 학생을 두 그룹으로 나누고, A그룹의 학생들에게는 '전기 쇼크 실험을 할 것인데 아프지는 않고 별고 없을 것'이라고 했고, B그룹의 학생들에게는 '전기 쇼크 실험을 할 것인데, 아프거나 다칠 수도 있다'라고 했습니다. 그리고는 실험자들에게 두 개의 방을 제시하며 한방에는 당신들과 같은 실험인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