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마음을 토닥토닥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마음을 토닥토닥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398)
    • 공지, 이벤트 (0)
    • 효과 (Effect) & 증후군 (Syndrome) (26)
    • 생산성 & 루틴 심리 (33)
    • 돈과 감정의 심리 (34)
    • 남녀심리차이 (65)
    • 자존감 & 성격 심리 (57)
    • 인간관계 심리 (가족, 친구, 직장 내 관계) (61)
    • 연애 심리 (썸, 호감, 이별, 사랑의 심리) (120)
  • 방명록

착한사람콤플렉스 (5)
인간관계 심리 시리즈 Ep44: 모두가 날 좋아해야 한다는 강박이 관계를 망치는 이유

😰 왜 나는 늘 좋은 사람이어야만 할까?“사람들이 나를 싫어하면 어쩌지…” “상대가 실망할까 봐 거절을 못 해.” “갈등이 생길까 봐 늘 먼저 맞춰줘야 해.”이러한 심리는 ‘착한 사람 콤플렉스’ 혹은 모두에게 좋은 사람이어야 한다는 심리적 강박에서 비롯됩니다.오늘은 ‘좋은 사람 강박’이 인간관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그리고 그 심리적 뿌리는 어디에서 비롯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1. 모두에게 인정받고 싶은 욕구의 뿌리심리학자 칼 로저스는 말했습니다. “인간은 근본적으로 ‘사랑받고 싶은 존재’다.”✔ 모두에게 인정받고 싶은 마음 ✔ 갈등을 피하고 싶은 불안 ✔ 거절에 대한 두려움이 모든 감정은 ‘자기 존재의 안정감 부족’에서 시작됩니다. 즉, 나 자신에 대한 믿음이 약할수록, 타인의 인정으로 나를 확인하려는..

인간관계 심리 (가족, 친구, 직장 내 관계) 2025. 6. 23. 21:57
인간관계 심리 시리즈 Ep26: 모두와 잘 지낼 필요는 없다는 심리학적 이유

왜 우리는 모두와 잘 지내야 한다고 믿을까? 🤝“그 사람이랑도 잘 지내야지.” “나 때문에 기분 상한 건 아닐까?” “저 사람이 날 싫어하면 어떡하지…”이러한 생각은 많은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무의식적인 인간관계의 강박입니다. 우리는 어릴 때부터 “예의 바르게 행동해야 한다”, “다정한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메시지를 듣고 자랍니다. 하지만 심리학은 말합니다. 모든 사람과 잘 지내려는 태도는 오히려 내면의 균형을 무너뜨릴 수 있다고요.좋은 관계를 맺으려는 노력은 아름답습니다. 그러나 그 노력의 전제가 “모두에게 사랑받아야 한다”라면, 이는 지속적인 스트레스의 원인이 됩니다.좋은 사람이 되려다 나를 잃는 사람들이러한 강박은 ‘착한 사람 콤플렉스’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심리학에서 과잉 적응(overa..

인간관계 심리 (가족, 친구, 직장 내 관계) 2025. 5. 14. 21:00
인간관계 심리 시리즈 에피소드 25: 진짜 좋은 사람일수록 거절을 잘하는 이유

“거절했는데도 관계가 더 편해졌어요.” 이 말이 의아하게 들리시나요? 하지만 진짜 좋은 사람일수록 오히려 ‘아니오’라고 말할 줄 아는 용기를 갖고 있습니다.모든 부탁에 '예스'라고 말하며 힘들어하는 사람보다, 필요한 순간에 솔직하게 말하고 건강한 경계를 지키는 사람이 더 깊은 신뢰를 받습니다. 이런 사람들의 공통점은 자기 확신과 감정 조절 능력, 그리고 바디랭귀지를 통한 자기 표현의 명확함입니다.1. 좋은 관계는 명확한 경계에서 시작된다상대의 부탁을 모두 들어주는 것이 좋은 관계의 조건일까요? 사실은 그 반대입니다. ‘이건 도와줄 수 있어’와 ‘이건 힘들어’라는 분명한 기준이 있을 때, 상대도 그 사람을 존중하게 됩니다.이들은 보통 시선을 정면으로 유지하며, 말할 때 고개를 흔들지 않고, 단정한 자세로 ..

인간관계 심리 (가족, 친구, 직장 내 관계) 2025. 5. 12. 21:00
자존감 & 성격 심리 시리즈 에피소드 25: 자존감이 낮을수록 ‘착한 사람 콤플렉스’에 빠지는 이유

“싫다고 말하면 나쁜 사람이 될까 봐요.” 이런 생각, 해본 적 있으신가요? 남을 실망시키는 것이 두려워 ‘예스’라고 말해놓고, 뒤늦게 후회한 경험 말이죠. 이는 단순한 성격 문제가 아니라, 자존감과 연관된 심리 패턴일 수 있습니다.이른바 ‘착한 사람 콤플렉스’는 자존감이 낮을수록 더 쉽게 나타납니다. 이들은 타인의 시선에 과도하게 반응하며, 자신보다 남을 먼저 배려하려는 경향이 강합니다.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바디랭귀지도 자신감보다는 불안과 회피를 드러내곤 하죠.1. 인정받기 위한 과도한 배려자존감이 낮은 사람은 ‘나는 부족한 사람’이라는 기본 전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른 사람에게 인정받기 위해 과도하게 착한 역할을 자처합니다. 그들은 “싫어요”라고 말하지 못하고, “괜찮아요”를 반복하며 자신을 ..

자존감 & 성격 심리 2025. 5. 12. 20:00
이전 1 2 다음
이전 다음
반응형
TAG
  • 바디랭귀지
  • 자존감심리
  • 관계심리
  • 심리학연애
  • 남자심리
  • 인간관계심리
  • 호감표현
  • 따뜻한글
  • 감정표현
  • 여자심리
  • 연애팁
  • 연애심리
  • 감정심리
  • 남녀심리차이
  • 연애심리학
  • 자기수용
  • 자존감회복
  • 돈과감정
  • 감정소통
  • 심리학블로그
more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공지사항

PC버전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Customized by Sometimes-n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