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생산성 & 루틴 심리 시리즈 Ep4: 계획은 잘 세우는데 왜 항상 지키지 못할까? (심리학이 말하는 실행력의 함정)
안단테 콘 모토 2025. 5. 16. 08:30계획은 잘 세우는데, 왜 실행은 안 될까? 📋
“이번 주엔 진짜 계획대로 해보자.” 계획표를 예쁘게 만들고, 일정도 나눠봤지만… 며칠 지나지 않아 흐지부지되며 자책하는 패턴, 반복되지 않으셨나요?
계획을 잘 세우는 것과 실행하는 것은 전혀 다른 심리적 작용이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계획은 잘 세우는데 실행은 안 되는 심리’의 구조를 분석하고, 실행력을 살리는 심리 기술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계획은 ‘통제감’, 실행은 ‘불확실성’
계획을 세울 때는 마음이 안정됩니다. 그 이유는 계획이라는 행위가 **‘내가 이걸 통제할 수 있다’**는 느낌을 주기 때문입니다.
반면, 실행은 실제로 몸을 움직이고 시간과 에너지를 써야 하므로 심리적으로 **불확실성과 저항**을 더 많이 느끼게 됩니다.
계획을 많이 세우지만 실행이 안 되는 사람은 ‘심리적 통제감’은 높지만, 실제 실천 동력은 낮은 상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 순간의 바디랭귀지:
- 계획 중엔 집중력이 높고 눈동자 움직임이 활발함
- 실행 직전엔 얼굴 근육이 무거워지고, 몸이 굼떠짐
- 시작을 앞두고 한숨, 핸드폰 확인, 자리 이탈 반복
2. 완벽주의 계획은 실행을 마비시킨다
계획을 지키지 못하는 또 하나의 이유는 계획 자체가 ‘완벽해야 한다’는 강박 때문입니다.
“이왕 하는 거 제대로 하자.” “반드시 목표 시간 안에 끝내야 해.”
이러한 생각은 실행을 자극하기보다 실패에 대한 불안을 먼저 키워, 오히려 행동을 지연시킵니다.
실행력은 완벽함보다 ‘시작 가능성’을 먼저 고려해야 합니다.
3. 계획과 감정은 따로 움직인다
계획을 세울 때는 기분이 좋고 동기 부여가 강하지만, 실제 실행 시점에서는 **기분, 피로도, 환경**이 전혀 다를 수 있습니다.
이 감정의 간극을 고려하지 않으면 계획은 항상 책상 위에서만 머물게 됩니다.
해결 방법:
- 계획에 ‘유연성 구간’ 포함 (예: 오후 or 저녁, 선택형 과제)
- 실행 전, “지금 기분에 맞는 과제부터” 선택
- 하루 단위 계획보다, 2~3일 단위 묶음 루틴으로 전환
실행력을 높이는 심리 설계 전략 🌱
실행을 돕기 위한 심리 설계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 낮은 진입 장벽 – “딱 10분만 해보자”로 시작
- 감정 상태 반영 – 피로한 날은 쉬운 과제부터
- 실패 가능성 고려 – 계획 지연 시 대체 루틴 준비
계획을 세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실행할 수 있는 나’의 상태를 고려한 계획이 진짜 전략입니다.
📚 관련 심리학 서적 추천
- 『계획의 함정』 – 피터 골위처
Yes24에서 보기 - 『작심삼일도 전략이다』 – 손대희
Yes24에서 보기 - 『마음챙김 실행력』 – 류쉬안
Yes24에서 보기
'생산성 & 루틴 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산성 & 루틴 심리 시리즈 Ep7: 작은 습관이 큰 변화를 만드는 이유 (루틴의 심리적 파급 효과) (0) | 2025.05.19 |
---|---|
생산성 & 루틴 심리 시리즈 Ep6: 루틴을 오래 유지하는 사람들의 심리적 공통점 (0) | 2025.05.18 |
생산성 & 루틴 심리 시리즈 Ep5: 작심삼일을 반복하는 이유, 의지력 문제가 아니다 (1) | 2025.05.17 |
생산성 & 루틴 심리 시리즈 Ep2: 집중력이 무너지는 결정적 순간 3가지 (심리학 기반 분석) (0) | 2025.05.14 |
생산성 & 루틴 심리 시리즈 Ep01: 하루를 망치는 아침 습관 3가지 (0) | 2025.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