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마음을 토닥토닥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마음을 토닥토닥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398)
    • 공지, 이벤트 (0)
    • 효과 (Effect) & 증후군 (Syndrome) (26)
    • 생산성 & 루틴 심리 (33)
    • 돈과 감정의 심리 (34)
    • 남녀심리차이 (65)
    • 자존감 & 성격 심리 (57)
    • 인간관계 심리 (가족, 친구, 직장 내 관계) (61)
    • 연애 심리 (썸, 호감, 이별, 사랑의 심리) (120)
  • 방명록

감정에너지 (7)
인간관계 심리 시리즈 Ep42: 사람들과 오래 함께 있으면 피곤해지는 이유 (사회적 피로의 심리학)

😓 왜 사람들과 함께 있으면 더 피곤할까?친한 사람들과 모임을 갖고 나서도 집에 오면 녹초가 된 기분, 말을 많이 하지 않았는데도 머리가 멍한 상태, “나는 왜 이렇게 쉽게 지칠까?”라고 자책한 적 있으신가요?이런 경험은 단순한 체력 문제나 내성적 성향 때문만은 아닙니다. ‘사회적 피로(Social Fatigue)’라는 심리적 현상이 존재합니다.오늘은 사람들과 함께 있는 것이 피곤한 이유를 심리학적으로 풀어보고, 그 피로를 어떻게 다뤄야 하는지 살펴봅니다.1. 사회적 피로는 ‘감정 에너지’의 고갈사람과의 관계에는 감정을 읽고 조율하는 과정이 필수적으로 따라옵니다.✔ 눈치를 본다 ✔ 말의 맥락을 파악한다 ✔ 상대 기분을 배려한다이 모든 과정은 뇌의 에너지를 크게 소모시키며, ‘감정적 에너지 고갈’이라는 ..

인간관계 심리 (가족, 친구, 직장 내 관계) 2025. 6. 15. 01:48
생산성 & 루틴 심리 시리즈 Ep18: 왜 나는 할 일 앞에서 ‘갑자기 피곤해질까?’ (행동회피의 심리)

“일 시작하려고 하면 갑자기 피곤해져요…”해야 할 일이 눈앞에 있는데도 몸이 무겁고 나른해지며 의욕이 뚝 떨어지는 경험, 혹시 익숙하신가요?오늘은 ‘행동 회피’와 피로감의 심리에 대해 살펴봅니다.피곤함은 ‘에너지 부족’이 아니라 ‘심리 저항’일 수 있다많은 경우, 할 일을 앞두고 느껴지는 피로는 실제 에너지 고갈이 아니라 무의식적 스트레스 회피 반응입니다.몸은 심리적 압박을 감지하면 ‘피곤함’을 만들어내 우리를 그 일로부터 멀어지게 합니다.‘갑작스러운 피로’가 나타나는 심리적 이유 3가지1. 완벽주의에 대한 부담“어설프게 시작하느니, 아예 미루자.” 완벽하게 해야 한다는 부담은 시작을 막는 심리적 피로로 나타납니다.2. 성과에 대한 불안“이거 하다가 괜히 결과 안 좋으면 어쩌지…” 성과에 대한 두려움이 ..

생산성 & 루틴 심리 2025. 5. 31. 08:30
인간관계 심리 시리즈 Ep37: “관계가 늘 나만 힘든 것 같아” (일방적 관계의 심리)

“언제나 내가 먼저 연락하고, 내가 맞춰주고…” 한쪽이 일방적으로 애쓰는 관계는, 처음엔 괜찮다가도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지치고 무기력해집니다. 오늘은 ‘관계가 힘들게 느껴지는 이유’와 그 심리적 배경을 알아보겠습니다.1. ‘기울어진 관계’는 보이지 않게 고통을 준다겉보기에 큰 문제는 없어 보여도 한쪽만 애쓰는 관계는 감정의 균형이 깨진 상태입니다.상대는 아무렇지 않은데, 나만 민감하고 힘들게 느껴진다면 그건 내가 더 많이 감정 에너지를 소모하고 있다는 뜻입니다.2. 노력은 쌓이지만, 인정은 돌아오지 않는다관계 안에서 내 노력이 당연하게 여겨질 때 상처는 피드백이 없을 때 더 커집니다.“고마워” 한 마디 없이 흘러가는 말들, 내가 조율하고 맞춘 흔적이 아무 의미 없어질 때 존재감 상실감이 생깁니다.3. ..

인간관계 심리 (가족, 친구, 직장 내 관계) 2025. 5. 25. 22:00
생산성 & 루틴 심리 시리즈 Ep13: “해야 할 일은 많은데, 왜 아무것도 하기 싫을까?” (과부하 상태의 심리학)

“해야 할 게 너무 많은데… 그냥 멍하니 앉아만 있어요.” 할 일은 넘치고 시간도 부족한데, 몸도 마음도 움직이지 않는 상태. 오늘은 ‘생산성 마비’의 심리적 원인과 회복 접근법을 살펴보겠습니다.1. 해야 할 일이 많을수록 뇌는 멈춘다할 일이 많다는 건 뇌에 수많은 선택지가 한꺼번에 들어왔다는 뜻입니다. 이때 뇌는 결정을 미루고 에너지 소모를 막기 위해 ‘멈춤 반응’을 일으킵니다.이는 게으름이 아니라 정보 과부하에 대한 생존 본능입니다.2. 완벽주의는 과부하를 가중시킨다“시작하려면 완벽하게 해야 해.” 이런 생각은 작업 진입 자체를 어렵게 만들고, 끝내 아무것도 하지 못한 채 하루를 보내게 만듭니다.계획과 실행 사이의 심리적 거리가 멀어질수록 마비 상태는 더 길어집니다.3. 바디랭귀지로 나타나는 생산성 ..

생산성 & 루틴 심리 2025. 5. 25. 08:30
이전 1 2 다음
이전 다음
반응형
TAG
  • 남녀심리차이
  • 남자심리
  • 감정심리
  • 감정소통
  • 심리학연애
  • 감정표현
  • 자존감심리
  • 자기수용
  • 심리학블로그
  • 연애심리
  • 관계심리
  • 바디랭귀지
  • 따뜻한글
  • 자존감회복
  • 돈과감정
  • 연애팁
  • 호감표현
  • 인간관계심리
  • 연애심리학
  • 여자심리
more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공지사항

PC버전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Customized by Sometimes-n

티스토리툴바